😂❓ "롤모델이 별로 없는 여성 관리자는 신임 관리자 첫 해가 매우 중요하다던데..." 능력을 인정 받아 동료직원 그룹에서 홀로 빠져나와 관리자가 된 P 이사는 기쁨도 잠시, 밤마다 많은 고민들이 떠올라 요즘 통 잠을 못잔다. === '안정적으로 관리자 그룹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기존 동료 직원의 지지와 격려가 큰 도움이 된다던데.. 그들에게 말하는 건 조금 그렇겠지..?' '우리 조직에서는 고위급 여성 임원이 드물어서 이렇다 할 여성 롤모델이 안 계시네..' '왜인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불편한 시선을 보이는 관리자 분들도 계신 것 같네.. 내가 어떻게 해야 할까?' === 매일 같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고민을 이기지 못하고, P 이사는 결국 회사에 도움을 요청하기로 한다. 회사에서는 P 이사에게 여성 임원 출신으로 같은 고민을 경험했었으며, 퇴직 이후에는 본인과 같은 경험을 하고 있는 조직 내 여성 임원/관리자에게 도움을 주는 전문 코치를 소개해주었다. 전문 코치와 코칭을 시작한 P 이사는 고민의 짐이 점점 해소됨을 느꼈다. P 이사는 전문 코치와 어떤 이야기를 나눈 것일까? 👏❗ "여성 관리자는 남성 관리자와는 다른 방식의
관리 역량을 필요로 합니다." 남성 관리자는 업무 전문성에서 관리 전문성으로 연결되는 시기에 네트워크가 작동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여성 관리자는 업무 탁월성을 인정받아 관리자로 승진하더라도 포기하기 어려운 다른 역할로 인해
네트워크 지원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스페셜리스트에서 제네럴리스트로 이동하는 신임 관리자의 시기에
관리자의 영역에 들어선 여성 리더는 스스로 롤모델이 되어야 하고, 스스로 자존감을 높여야 하며, 스스로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까지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조금씩이라도 모든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뛰어난 업무 능력을 인정받아 관리자로 승진한 경우에도 더 나아가 다양한 영역을 모두 알고, 지시하고, 이끌어 가는 역할로 옮길 수 있어야 하며, 일부 업무에서 탁월한 성과를 올렸던 경험을 살려 전체를 가늠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다른 방식의 관리 역량은 어떻게 향상 시킬 수 있을까? 1) MICRO-PROCESS
COACHING MODEL
부서의 신입직원들에게 일을 시켜야 하는데, 업무 추진하는 방식도 모르고 언제 어디까지 해내야 하는지 일일이 알려줘야 하는 상황과 직면하게 됩니다. 업무를 잘 하지 못하는 신출내기 직원들과 업무를 해야 할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 - 어떤 방식으로 업무지시를 해야 할까요? - 얼마 만에 한 번씩 진행상황을 확인해야 할까요? 2) MACRO-PROCESS COACHING
MODEL
어떤 업무영역에서든 나보다 잘 아는 직원들이
있게 마련입니다. 어떤 직원은 나보다 연령이 많거나 경력이 길기도 합니다. 직위는 나보다 낮지만 만만하지 않은 직원들과 업무를 해야 할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 - 어떤 방식으로 업무지시를 해야 할까요? - 얼마 만에 한 번씩 진행상황을 확인해야 할까요? ▼ 위 내용에 대한 답변을 인코칭 유튜브에서 확인하세요~😉 ▼ 허 영 숙(KPC) 現) 인코칭 전문코치 現) 동덕여대 외래교수
前) 한국생산성본부 핵심역량 센터장 ![]() 여성들이여 최고의 리더가 되고 싶다면 5단계 리더십을 실천하라! 성장은 하고 싶지만 롤모델이 부족한 여성 직장인들, 이들이 주도적으로 조직 내 리더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코칭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 인코칭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02-780-5464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125 5층 Copyright(c) 2021 INCOACHING Co, Ltd. All Rights Reserved |
성장과 변화를 여는 첫걸음,